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

2020년 초·중·고 교육급여·교육비 서둘러 신청하세요 2020년 초중고 학생 교육급여· 교육비 신청 ◈ 목적: 저소득층 가정 자녀의 교육비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지원◈ 교육급여와 교육비 비교구 분교육급여교육비주 관교육부, 시도교육청시도교육청근 거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12조초·중등교육법 제60조의4부터 제60조의10사업성격국가의 의무지출(권리성 급여)시‧도교육청 재량적 예산사업 ※ 교육청 예산 상황에 따라 유동적지원대상중위소득 50% 이하 초중고 학생 시‧도교육청별로 다르나, 통상 중위소득 50∼80% 이하 초중고 학생 (기초수급자, 법정차상위 등 포함)지원내용 - 입학금, 수업료- 고교 교과서비- 학용품비 (초) 연 7만 2천 원 (중․고) 연 8만 3천 원- 부교재비 (초) 연 13만 4천 원 (중) 연 21만 2천 원 (고) 연 33만 9천 2백 원 시.. 2020. 3. 3.
신종코로나로 초.중.고등학교 개학 연기에 따른 후속 방안 알고 계시나요? 소식 들으셨나요?◈ 전국 유·초·중·고 개학 2주 연기, 개학: 3.23(월) ◈ 개학 연기 및 후속 지원방안 발표(교육부, 3.02. 16시 보도) 1. 여름·겨울방학 조정하여 수업일 수 확보하며, 추가 휴업이 발생하면 법정 수업일 10%범위 내에서 감축함 2. 3월 첫 주에 담임 배정, 디지털 교과서 e-학습터, EBS 동영상 등 자율형 온라인 콘텐츠 무료 제공 3. 3월 2주부터 온라인 학급방(e학습터, 위두랑, EBS, 클래스팅, SNS 단체방 등) 통해 예습 과제 및 학습 피드백 제공, 학생들이 동영상 자료와 평가 문항 등을 포함한 교과를 온라인으로 미리 볼 수 있도록 함 4.연기 기간 동안 유치원과 초등학교 긴급 돌봄 교실 09:00∼17:00 개방 원칙 5. 유연 근무제와 가족 돌봄 휴가제 .. 2020. 3. 3.
정신장애 진단은 어떻게 내려지는 걸까? “우리 아이 ADHD 진단받았어.” “우리 아이 게임중독이야.” “그 사람 조현병으로 오랫동안 약물 복용 중이었대.” “나 우울증이래.” 이런 이야기들 TV에서든 친구든, 주변에서 이제는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진단은 어떻게 내려지는 걸까요? 우리나라에서 정신장애 진단을 내릴 때는 DSM-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 미국의 정신건강의학회(APA)가 정신장애 진단이 가능하도록 관련 기준들을 분류해 놓은 매뉴얼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입니다. 보통은 DSM-five라고 불립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DSM의 진단기준에 따르고 있습니다. 1952년 DSM .. 2020. 2. 19.
[DSM-5] 우리 아이도 적대적 반항장애일까? 적대적 반항장애 (Oppositonal Defiant Disorder: ODD) 이런 종류의 반항적 태도는 사춘기를 전후한 아이와 청소년에게서 일반적으로 발견할 수 있습니다. 3세경에도 시작된다는 보고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약 8세경부터 시작됩니다. 사춘기 이전에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이 진단되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남녀 비율이 동일하게 나타납니다. 사실 자신과 타인을 구별하며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아니다’라는 말을 하며 자기 의지를 주장하는 것은 인간의 발달과정에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정체성, 자율성, 내적 기분과 자기조절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의 발달 정도나 정신적 성숙도에서 기대하는 바를 뛰어넘는 수준으로 적대적 태도를 보이고, 권위적 대상에 대해 과도한 반응을.. 2020. 2. 9.
"아. 짜증나." 무시하고 대드는 사춘기 반항, 부모의 대처법 부모 말 무시하고 짜증 잘 내는 아이 말끝마다 "아. 짜증나." 연발하며 문 쾅 닫고 들어가버리는 아이 학교 생활이 어떠했는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묻는 질문에도 "아, 왜요?" 대화를 거부하여 훈육은 커녕 부모의 말은 들으려고도 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대해야 할지 막막하죠? 다 큰 아이 때릴 수도 없고, 혹여 때리면 아예 집을 나가 들어오지 않을까 염려도 되구요. 지금의 부모가 성장하던 시기의 사춘기와 지금 아이들이 크는 환경이 많이 달라졌기에 사춘기 증상 또한 많이 다르죠? 그러나 성인으로 성장하는 시기에는 정상적인 발달과정입니다. 자기주장을 하고 타인에 대해서 거부한다는 것은 주체성, 자율성, 자기조절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니까요. 단 이 과정에서 부모를 향해 심한 욕설을 하거나 물건을 던지.. 2020. 2. 8.
사춘기를 설명하는 이론들 1. 생물사회적 조망먼저, 청년기의 과학적 연구의 시초는 생물사회적 조망의 그랜빌 스탠리 홀(Granville Stanley Hall, 1844-1924)이 1904년에 『청소년기(Adolescence)』라는 책을 발간한 것이다. 그의 재현 이론(recapitulation theory)은 개체 발생(ontogeny; 개인 유기체의 발달)은 계통 발생(phylogeny; 종의 역사적 진화) 과정을 따르며, 인류가 원시적이고 야만적인 문화에서 현재의 문명사회가 되었듯이, 개인도 원시적인 유아기에서 청년기를 거쳐 성인기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즉, 8-14세인 청소년 전기(youth)에 해당하는 사춘기는 수천 년 전 미개 사회의 단조로운 삶을 반영하는데, 이때는 일상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읽고 쓰고 말하는 .. 2020. 2. 6.
사춘기란 무엇인가? 사춘기 용어 사춘기를 의미하는 단어 puberty는 “남자다움, 사나이다움(manhood)” 라는 의미를 지닌 라틴어 pubertas에서 파생된 것입니다. 이에 대해 당시 로마인들의 학파간 견해가 달랐습니다. 가령 사비누스학파는 각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프로쿨루스 학파는 14세라는 연령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는 프로쿨루스파의 주장을 받아들였고, 이는 다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회법으로 수용되었습니다. 그래서 14세에 이르면 결혼을 할 수 있었고, 스스로 재산을 거래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좁은 의미로는 재생산을 할 수 있는 성적 성숙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시기, 조금 더 넓은 의미로는, 성적 성숙과 관련된 신체 변화가 일어나는 몇 년간을 .. 2020. 2. 5.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