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먼저 "경계성"이라는 용어는
1938년 Adolph Stern이 신경증과 정신증의 경계에 있는 환자들을 지칭하기 위해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경계성 인격장애는 인격장애의 한 유형으로
불안정한 대인관계와 자아정체성, 자기파괴적인 충동조절의 어려움 등 감정조절의 어려움 등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이들은 사람에게 상처를 받는 것도 두렵지만 혼자 있는 것도 매우 두려워합니다.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보이고 다른 사람들로부터 사랑, 관심, 돌봄 받고자 하는 욕구가 강합니다.
경계성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원인
명확하게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뇌구조 및 기능, 환경 ·문화 ·사회적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보통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부모, 형제 또는 자매 등 가족이 유사한 장애를 갖고 있을 경우
- 뇌손상
충동과 정서적 조절을 제어하는 뇌 영역에 구조적・기능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 환경·문화·사회적 요인
어린 시절 학대, 유기,방임 등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을 했을 경우
경계성 인격장애로 인한 문제점
- 친밀한 대인관계의 어려움
- 도박, 폭행 등 법적인 문제
- 과소비, 폭식, 알코올 중독 등
- 잦은 직업 변경 혹은 과도하게 일에 몰두
- 성병, 계획하지 않은 임신
- 자퇴, 이혼
- 자살시도(이 장애의 8-10%는 자살로 사망)
또한 아래와 같은 정신장애를 보일 수 있습니다.
- 우울증
-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 불안 장애
- 급식 및 섭식 장애
- 양극성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ADHD)
- 기타 성격 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기준 (301.83)(F60.3) 대인관계, 자아상 및 정동의 불안정성과 현저한 충동성의 광범위한 형태로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5가지(또는 그 이상)를 충족한다. 1. 실제 혹은 상상 속에서 버림받지 않기 위해 미친 듯이 노력함 ※ 주의점: 5번 진단기준에 있는 자살 행동이나 자해 행동은 포함하지 않음 2. 과대이상화와 과소평가의 극단 사이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정하고 격렬한 대인관계의 양상 3. 정체성 장애: 자기 이미지 또는 자신에 대한 느낌의 현저하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4. 자신을 손상할 가능성이 있는 최소한 2가지 이상의 경우에서의 충동성 (Ex) 소비, 물질, 남용, 좀도둑질, 부주의한 운전, 과식 등) 주의점: 5번 진단기준에 있는 자살 행동이나 자해 행동은 포함하지 않음 5. 반복적 자살 행동, 제스처, 위협 혹은 자해 행동 6. 현저한 기분의 반응성으로 인한 정동의 불안정 (Ex) 강렬한 삽화적 불쾌감, 과민성 또는 불안이 보통 수시간 동안 지속되며 아주 드물게 수일간 지속됨) 7. 만성적인 공허감 8. 부적절하고 심하게 화를 내거나 화를 조절하지 못함 (Ex) 자주 울화통을 터뜨리거나 늘 화를 내거나, 자주 신체적 싸움을 함) 9. 일시적이고 스트레스와 연관된 피해적 사고 혹은 심한 해리 증상 |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권준수역, 학지사, 325.
경계성 인격장애 치료
어린 시절부터 장기간 형성되어 온 성격적인 특징이기 때문에 치료는 매우 어렵습니다. 치료를 시작한다고 하더라도 1년 이상의 장기간 치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끈기와 인내가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치료나 인지행동치료 등이 있으나 많은 논문들을 살펴보면,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와 도식치료(스키마치료) 등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경우 자기인식훈련, 대인관계 기술, 정서조절 기술, 불편감 인내 기술훈련 등 단계별로 명확하게 구조화하고, 각 단계마다 치료 표적의 위계가 분명하게 정의되어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 약물치료의 경우, 경계성 인격장애의 증상 감소를 목표로 하는 약물은 없습니다. 단, 경계성 인격장애에서 나타나는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을 받을 수 있을까?
성장하면서 많은 변화를 겪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습니다.
보통 만 18세 이상, 초기 성인기에 증상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후에 진단이 가능합니다.
경계성인격장애-자해행동 주의
경계성 인격장애 영화
*폭풍의 언덕(Wuthering Heights, 1939, 감독-윌리엄 와일러)
*네멋대로 해라(A bout de souffle, 1959, 감독-장 뤽 고다르)
*미치광이 피에로(Pierrot le fou, 1965, 감독-장 뤽 고다르)
*미스터 굿바를 찾아서 (Looking For Mr. Goodbar, 1977, 감독-리처드 브룩스)
*분노의 주먹(Raging Bull, 1980, 감독-마틴 스콜세지)
*베티 블루(37.2 le matin, 1986, 감독-장 자크 베넥스)
*위험한 정사(Fatal Attraction, 1987, 감독-애드리안 라인)
*아비정전 (阿飛正傳: Days Of Being Wild, 1990, 감독-왕가위)
*밥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What about Bob, 1991, 감독-프랭크 오즈)
*레이디 버드 레이디 버드 (Ladybird Ladybird, 1994, 감독-켄 로치)
*조지아(Georgia, 1995, 감독-울루 그로스바드)
*처음 만나는 자유(Girl inerrupted, 1999, 감독-제임스 매그놀드)
*미치고 싶을 때 (Gegen Die Wand, 2004, 감독-파티 아킨)
*얼굴없는 미녀 (Faceless Beauty, 2004, 감독-김인식)
주변에 경계성 인격장애 특징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면 인내심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상대방의 기분이 휩쓸리지 않고 나와 상대방의 감정이 차분할 때까지 기다린 후에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 사람의 행동이나 생각이 잘못 되었다고 판단하기 보다 침착하고 일관성 있게 상대방을 지지하고 안정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돌봐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