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춘기/사춘기란?

사춘기를 설명하는 이론들

by beautiful-mind 2020. 2. 6.
반응형

1. 생물사회적 조망

먼저, 청년기의 과학적 연구의 시초는 생물사회적 조망의 그랜빌 스탠리 홀(Granville Stanley Hall, 1844-1924) 1904년에 『청소년기(Adolescence)』라는 책을 발간한 것이다그의 재현 이론(recapitulation theory)은 개체 발생(ontogeny; 개인 유기체의 발달)은 계통 발생(phylogeny; 종의 역사적 진화) 과정을 따르며, 인류가 원시적이고 야만적인 문화에서 현재의 문명사회가 되었듯이, 개인도 원시적인 유아기에서 청년기를 거쳐 성인기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 8-14세인 청소년 전기(youth)에 해당하는 사춘기는 수천 년 전 미개 사회의 단조로운 삶을 반영하는데, 이때는 일상적인 연습과 훈련을 통해 읽고 쓰고 말하는 기술을 획득하는 시기이다.



유전자 물질나선형의 유전자물질

또한 홀은 사람은 이 시기에 많은 혼란과 갈등을 경험한다면서 청년기를 ‘질풍노도(storm and stress)의 시기’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홀의 주장에 따라 청년기를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고정관념화된 것은 현재 실증적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많은 연구자들은 대부분의 청소년이 부모나 기성세대와 큰 갈등 없이 사춘기를 보낸다면서 홀의 견해를 반박하고 있다.

다음으로 로저 바커(Roger Barker, 1903-1990)는 청년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신체 발달이며 특히 체격이 개인의 사회적 경험을 결정한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신체 발달이 조숙한 청소년들은 성인 사회에 일찍 동화되는 반면, 신체 발달이 만숙한 청소년들은 더 오랫동안 아동기에 머문다는 것이다. 바커는 신체 발달과 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중요시하고 성장 속도의 개인차에 따른 청소년들의 상이한 체격이 사회적 경험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2. 정신분석적 조망


프로이트지그문트 프로이트(1856-1939)

정신분석 이론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 그가 주장한 발달 단계 중 청년기는 5단계인 생식기(genital stage)에 해당한다고 했다이 시기 청소년의 행동은 사춘기에 나타나는 갑작스러운 성적 에너지의 증가로 이해될 수 있으며이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불안을 일으킨다고 보았다그의 딸 안나 프로이트(Anna Freud, 1895-1982)는 좀 더 청년기에 집중해 연구했다.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와 생리적 변화들이 잠복기 동안 억압되었던 리비도 에너지를 더 강한 성적 충동으로 재현한다고 주장했다,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혼란과 갈등은 정상적 발달 과정의 일부분일 뿐 병리적 현상이 아니며, 이러한 혼란의 부족을 발달적 장애로 보았다. 다시 말해 사춘기에 혼란을 겪지 않으면 발달상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신분석학자2E.Erikson(1902~1994)




또 다른 정신분석학자 에릭 에릭슨(Erik Erikson, 1902-1994)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여덟 단계로 제시했다. 청년기는 이 가운데 정체감 대 역할혼란(identity vs. role confusion)의 시기에 해당한다. 청년기의 정체감 확립이란 통합적인 자기상의 정립을 의미한다

이 발달단계는 ‘내가 누구인가?, ‘나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와 같은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심각하게 고뇌한다. 에릭슨은 자신이 어떠한 존재이며 앞으로 나아가는 데 자신에게 제일의 가치가 무엇인지 확실히 인식하면 정체감을 획득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역할 혼란에 빠진다고 보았다.








3. 사회인지적 조망


사회인지적조망인간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사회화된다.


로버트 셀만(Robert Selman)은 청소년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조망 수용(social perspective taking)의 역할에 대해 연구했다. 그의 조망 수용 능력 발달 단계 중 사춘기는 제3자적, 상호적 조망 수용 단계인 3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조망뿐 아니라 타인의 조망도 고려할 수 있게 되면서 어떻게 행동할지 결정하기 전에 다른 관점에서도 그 상황을 바라볼 수 있다.




4. 사회문화적 조망


질풍노도 사춘기흔히 10대의 혼란한 시기를 '질풍노도의 사춘기'라 일컫는다.


사회문화적 조망에서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는 홀이 사춘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주장한 것이 맞는지 연구했다. 미드의 연구는 남태평양의 사모아 섬의 청소년들이 질풍노도의 시기 없이 평화로운 생활을 한다는 것을 밝히면서, 질풍노도의 시기가 보편적 현상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했다. , 미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에 따라 청소년들이 갈등을 경험할 수도 있지만, 사모아 사회의 청소년들처럼 경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혔다. 이것으로 그녀의 스승 보아스(Franz Boas)가 말한 문화적 결정론이 청년기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핵심적 이론이라고 주장했다.





 


5. 대인관계적 조망



대인관계적 조망청소년기에는 친구관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해리 스택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대인관계 이론에서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원하며 타인에게 수용되기 위해 노력한다고 했다. 이 이론에서 사춘기는 청년 초기 단계에 속한다. 이 단계는 대인간의 친밀감을 유지하려는 욕구, 성적 만족을 추구하려는 욕구 및 안정된 이성관계를 형성하려는 욕구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6. 맥락적 조망


맥락적 조망에서는 청소년기를 맥락의 확대로 설명하고 확대된 맥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는 시기라고 주장했다.

쿠르트 레빈(Kurt Lewin)은 “행동은 사람과 환경의 함수”라는 장 이론의 핵심 개념을 통해 청소년의 행동을 설명했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인지적 성숙과 대인관계의 변화에 따라 생활구조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난다. 그는 청소년들의 행동은 생활공간의 확장과 분화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한 집단에서 다른 집단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어느 집단에도 소속하지 못하는 위치에 있는 청소년을 ‘주변인’이라고 불렀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청소년은 또래 집단을 제외하고 어디에도 소속될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갈등을 경험한다.


주변인어른과 아이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주변을 맴도는 청소년을 '주변인' 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브론펜브레너(Bronfenbrenner)는 레빈과 다르게 시간의 개념을 중요시했다. 그는 물리적 환경의 변화에 대한 시간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적 변화에 따른 시간의 영향을 강조했다.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모델은 개인의 생태학적 환경을 미세 체계, 중간 체계, 외부 체계, 거대 체계로 구분하고 이들이 상호작용한다고 설명한다. 청소년기에는 개인이 직접 참여하지는 않지만 개인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 요소인 ‘외부 체계’와 사회적, 정치적, 법적, 경제적, 종교적, 교육적 체계인 ‘거대 체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리처드 러너(Richard Lerner)는 청소년의 기질과 성격이 사회적 맥락과 일치하거나 사회적 맥락과 조화를 이루면 적응적, 건설적 발달을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청소년의 특성이 맥락과 일치하지 않거나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청소년의 개인적 발달은 물론 사회적 관계까지 손상된다고 보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사춘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8648&cid=41991&categoryId=41991(2020.02.05.)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